Logo
Icon mobile
아카이브
[성문카 24년 12월호] 2024 통계로 보는 남녀의 삶
2024.12.13 | 게시자 서남권직장맘지원센터 | 조회수 6010



여성가족부에서는 제29회 양성평등주간을 기념하여 남녀의 모습을 부문별로 분석한 ‘2024 통계로 보는 남녀의 삶’을 발표했습니다.

이에 성평등 문화 확산 카드뉴스 W 12월호에서는 ‘2024 통계로 보는 남녀의 삶’에서 여성의 노동 및 일·가정 양립과 관련한 수치를 일부 소개하고자 합니다.


* 수록된 수치는 2024년 9월 기준으로 발표된 통계를 활용했으며, (원)자료를 그대로 인용 또는 가공한 것입니다.

* 모든 수치는 반올림된 것으로 총계가 일치하지 않을 수 있고, 계산 단위에 따라 통계청 등의 공표 결과와 일치하지 않을 수 있습니다.



30대 여성 고용률 큰 폭 증가로 ‘M커브 완화’

2023년 30~34세 여성 고용률은 71.3%로 2010년 대비 큰 폭(18.3%p)으로 상승함



2023년 15~34세 기혼여성 중

경력단절여성*  비율은 17.0%로 2015년 대비 4.7%p 감소


 * 15~54세 기혼 미취업여성 중 결혼, 임신·출산, 육아, 자녀교육, 가족돌봄을 이유로 직장을 그만둔 여성임




2023년 여성(18,502원) 임금근로자의 시간당 임금은

남성(26,042원)의 71.0% 수준으로, 2010년 대비 9.4%p 개선됨



2023년 남성 육아휴직급여 수급자는 약 3만 5천 명으로 2015년 대비 7.3배 증가

남성 육아휴직급여 수급자 중 남성 비율은 2015년 5.6%에서 2023년 28.0%로 22.4%p 증가



2023년 남성 육아기 근로시간 단축급여 수급자는 2015년 대비 13.2배 증가



2023년 여성 관리자 비율은 22.1%로, 2015년 대비 2.7%p 상승



2025년에도 서울특별시 서남권직장맘지원센터는

직장맘&대디가 성평등한 노동 환경에서 일과 가정을 조화롭게 이어갈 수 있도록 노력하겠습니다.

감사합니다.


< 출처 >

[여성가족부] 2024 통계로 보는 남녀의 삶

https://www.mogef.go.kr/nw/enw/nw_enw_s001d.do?mid=mda700&bbtSn=712164








[직성카 23년 12월호] 2023 통계로 보는 남녀의 삶
2023.12.09
2023 통계로 보는 남녀의 삶여성가족부에서는 제28회 양성평등주간을 기념해 여성과 남성의 모습을 부문별 통계로 살펴보는 ‘2023 통계로 보는 남녀의 삶’을 발표했습니다.1997년부터 ‘통계로 보는 여성의 삶...
[직성카 23년 11월호] 일·가정 양립에 앞장서는 기업들
2023.11.10
“육아휴직 마음 편히 쓰세요.“일·가정 양립에 앞장서는 기업들맞벌이 부부에게는 여전히 출산과 육아가 가장 큰 부담입니다.자녀 돌봄과 가사 노동을 하며 일을 병행하는 것에 어려움을 느끼고결국 엄마나 아빠 중 한 ...
[직성카 23년 10월호] 한국 여성의 M자 인생
2023.10.13
한국 여성의 M자 인생M자로 구부러진 연령대별 고용률  20여 년째 한국 여성의 연령대별 고용률 그래프가 30대에 급감하는 M자 모양을 유지하고 있습니다. 통계청에 따르면 지난 해 여성 고용률이 가장 높은 연...
[직성카 23년 9월호] 성별은 능력의 한계를 정하지 않는다.
2023.09.08
성별은 능력의 한계를 정하지 않는다.상장법인 10곳 중 6곳은 여성 임원 '제로'여성 임원 '제로'여성가족부 2021년 국가성평등보고서에 따르면 상장법인 2,246개 중 여성 임원이 한 명조차 없는 기업이 1,...
[직성카 23년 8월호] '기업 전략'과 '성역할 고착화' 사이에 놓인 주부마케팅
2023.08.11
'기업 전략'과 '성역할 고착화' 사이에 놓인 주부마케팅주부 소비자의 목소리를 직접 듣다식품업계에서 주부 소비자의 목소리를 직접 듣는 맘보이스(MomVoice) 마케팅을 활발히 펼치고 있습니다. 대표적인 ‘주부...